티스토리 뷰

건강

HD(혈액 투석) 및 HDF(혈액 여과 투석)

매일의 시작 2024. 3. 26. 14:46

목차



    반응형

    혈액투석HD와 HDF의 투석원리의 차이점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혈액투석, 혈액여과투석
    혈액투석, 혈액여과투석

     

    1. 혈액투석 (Hemodialysis, HD)

     

    혈액투석(hemodialysis: HD)반투막을 통해 혈액과 투석액을 접촉시키고, 주로 확산의 원리에 의해 혈액 중의 대상물질을 제거하는 혈액정화법입니다.

     

     

     

     

    기본 원리

     

    • 확산(Diffusion) 원리를 주로 사용
    • 혈액과 투석액 사이의 농도 차이를 이용해 노폐물과 과다 수분 제거
    • 반투막을 통해 작은 분자와 이온을 선택적으로 제거

     

    주요 특징

     

    • 표준적인 신대체 요법
    • 정기적으로 혈액에서 노폐물 제거
    • 전해질 및 산-염기 균형 조절
    • 일반적으로 주 3회 실시

     

    HD(혈액 투석) 및 HDF(혈액 여과 투석)
    HD(혈액 투석) 및 HDF(혈액 여과 투석)

     

    2. 혈액투석 여과 (Hemodialysis Filtration, HDF)

     

    혈액 여과( Hemodialysis Filtration, HDF ) 투석액을 사용하지 않고 압력을 가하여 혈액을 여과(한외 여과)하여 불필요한 수분이나 대상 물질을 제거하는 혈액 정화법입니다. 제거한 체액(여액)에 맞는 분의 전해질액을 체내에 보충합니다. 막 구멍을 통과할 수 있는 물질이면 분자량에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농도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기본 원리

     

    • 확산(Diffusion)과 여과(Filtration) 원리를 동시에 사용
    • 압력차를 이용해 더 큰 분자와 중간 크기 분자까지 제거
    • 혈액투석보다 더 광범위한 물질 제거 가능

     

    주요 특징

     

    • 더 효과적인 독소 및 중분자 제거
    • 혈액 정화 효율 향상
    • 더 많은 수분 제거 가능
    • 환자의 임상적 결과 개선 잠재력

     

    HD,HDF 차이점

     

    1. 제거 메커니즘

    • HD: 주로 확산에 의존
    • HDF: 확산과 여과 동시 사용

     

    2. 제거 가능한 물질

    • HD: 주로 작은 분자와 이온
    • HDF: 작은 분자, 이온, 중간 크기 분자

     

     

     

    3. 수분 제거 방식

    • HD: 제한적인 수분 제거
    • HDF: 더 효과적이고 광범위한 수분 제거

     

    4. 임상적 이점

    • HD: 표준 치료법
    • HDF: 더 나은 임상적 결과 가능성 

     

    결론

    두 방법 모두 말기 신부전 환자의 중요한 치료 방법이지만, 개별 환자의 상태와 의료진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혈액투석, 혈액여과투석과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글]

     

    혈액투석과 혈액투석여과, 무엇이 다를까요?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필수적인 치료법인 혈액투석. 하지만 혈액투석에도 다양한 종류가 있다는 사실을 알고 계시나요?오늘은 혈액투석의 기본적인 원리와 더불어 최근 주목받고 있는 혈액투

    dailypower.co.kr

     

    혈액투석과 혈액투석여과에서 제거하는 노폐물의 종류와 기능

    혈액투석이나 혈액투석여과를 통해 제거되는 노폐물은 우리 몸의 다양한 대사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입니다. 이러한 노폐물이 혈액 내에 과도하게 축적되면 우리 몸에 다양

    aaa.dailypower.co.kr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 골격의 형성  (0) 2024.03.26
    세포외 기질 및 세포 신호전달  (0) 2024.03.26
    유산소 에너지 대사  (0) 2024.03.26
    DNA 복구  (0) 2024.03.26
    유전자 발현 과정  (0) 2024.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