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절차 완벽 안내

매일 알리미 2025. 5. 16.

2025년 6월 3일(화),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치러집니다.
이번 선거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인해 진행되는 궐위선거입니다.

 

국민이 직접 새로운 대통령을 뽑는 중요한 선거입니다.
그만큼 투표 절차를 정확하게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죠.

 

이 글에서는 사전투표와 본투표의 절차를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2025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절차 완벽 안내
2025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절차 완벽 안내


사전투표 일정 및 장소

 

  • 투표일: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시간: 오전 6시 ~ 오후 6시
  • 장소: 전국 사전투표소 (주소지와 무관하게 어디서든 투표 가능)

 

출근 전이나 퇴근 후에도 참여할 수 있어 실질적으로 가장 편리한 제도입니다.

 

 

 


사전투표 절차

 

1. 신분증 제시

  •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장애인등록증 등
  • 모바일 신분증(PASS, 정부24, 네이버 자격증 등) 가능
    ※ 단, 캡처 이미지 불가 → 앱 실행화면 제시 필수

2. 본인 확인

  • 손도장 날인 또는 서명으로 본인 확인

3. 투표

  • 관내선거인:
    주소지 관할 구·시·군에서 투표
    → 투표용지 수령 → 기표소 기표 → 접어서 관내투표함에 투입
  • 관외선거인:
    주소지 외 지역에서 투표
    → 투표용지 + 회송용 봉투 수령 → 기표 → 봉투 밀봉 → 관외투표함에 투입

 

 

 

 


관내 vs 관외 구분 예시

 

  • 서울 구로구에 거주하고 구로구 사전투표소에서 투표 = 관내선거인
  • 부산 거주자가 서울 구로구 사전투표소에서 투표 = 관외선거인

 

📍 사전투표는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 어디서나 가능합니다.


본투표 일정 및 장소

 

  • 투표일: 2025년 6월 3일(화)
  • 시간: 오전 6시 ~ 오후 8시
  • 장소: 주민등록상 주소지에 지정된 투표소

사전투표를 하지 못했다면 본투표일을 꼭 기억해주세요.

 

 


본투표 절차

 

1.신분증 제시

  • 사전투표와 동일하게 사진이 부착된 신분증 또는 모바일 신분증
  • 캡처 이미지 사용 불가

2. 본인 확인

  • 선거인명부에 서명하거나
  • 도장 또는 손도장 날인

3. 투표용지 수령

  • 신분 확인이 끝나면 투표용지를 발급받습니다

4. 기표 및 투표함 투입

  • 기표소에서 한 명의 후보자에 기표
  • 용지를 접어 지정된 투표함에 넣으면 완료!

 


사전투표 vs 본투표 비교표

 

항목명 사전투표 본투표
투표 기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6월 3일(화)
투표 시간 오전 6시 ~ 오후 6시 오전 6시 ~ 오후 8시
투표 장소 전국 사전투표소 (주소 무관) 주소지 기준 지정 투표소
본인 확인 방법 손도장 또는 서명 서명, 도장 또는 손도장 중 선택
투표 방식 관내·관외로 절차 다름 동일 절차 (주소지 기준 1장만 발급)

유의사항 꼭 기억하세요!

 

  • 신분증 없이는 절대 투표할 수 없습니다.
  • 반드시 기표소에 비치된 도장만 사용하세요.
  • 기표소 안에서 촬영은 불법입니다.
  • 인증샷은 투표소 외부에서만 가능합니다.
  • 사전투표는 통합선거인명부에 기록되어
    중복 투표는 기술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사전투표를 하면 본투표도 할 수 있나요?
아니요.

 

사전투표와 본투표 중 한 번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를 했다면 본투표는 불가능하며, 중복 투표는 불법입니다.

 

Q2. 모바일 신분증으로 투표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PASS 앱, 정부24 모바일 주민등록증, 네이버·카카오의 국가자격증 기능 등
공식 앱으로 발급된 신분증은 사용 가능합니다.


단, 캡처 화면은 절대 불가하니, 앱을 직접 실행해야 합니다.

 

Q3. 관내선거인과 관외선거인은 어떻게 구분되나요?
투표소 기준으로, 내 주소지가 해당 구·시·군이면 '관내',

 

그 외 지역이면 '관외'로 분류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 구로구 주민이 구로구 사전투표소에서 투표 → 관내선거인
부산 시민이 서울 구로구에서 투표 → 관외선거인입니다.

 

Q4. 투표 인증샷은 찍어도 되나요?
가능하지만 제한이 있습니다.

 

투표소 외부에서는 인증샷 촬영 가능하지만,
기표소 안이나 기표 내용이 보이도록 찍는 건 불법입니다.

 

Q5. 기표할 때 연필이나 개인 도장을 써도 되나요?
아니요.

 

반드시 기표소에 비치된 기표도장만 사용해야 합니다.
연필, 볼펜, 개인 도장 등으로 기표한 경우 무효표 처리됩니다.

 

마무리하며

여러분의 한 표는 결코 작지 않습니다.
그 잠깐의 시간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꿉니다.

 

✔️ 바쁘면 사전투표
✔️ 가능하면 본투표

 

중요한 건 투표에 참여하는 것입니다.

 

👇 내 위치에서 사전투표소 찾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