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 선거, 왜 3번 후보는 없을까? 기호 3번 결번의 진짜 이유 총정리
2025년 6월 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조기 대선이라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런데 후보 명단을 보던 많은 국민들이 고개를 갸웃하게 되었죠.
“기호 1번 이재명, 2번 김문수, … 4번 이준석?
기호 3번은 왜 없지?”
이번 대선 투표용지에서 기호 3번은 공란으로 비워집니다.
그 이유는 바로, 기호 3번에 해당할 정당이 후보를 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 기호 3번이 비게 된 배경은?
공직선거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의 후보자 기호는
국회 의석 수 순서대로 정당에 부여됩니다.
- 기호 1번: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 기호 2번: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
- 기호 3번: 원래 조국혁신당이 받을 순번이었으나, 후보 미등록
- 기호 4번 이후: 개혁신당, 민주노동당, 자유통일당 등 가나다순 → 이후 무소속 추첨
즉, 조국 전 장관이 이끄는 조국혁신당이 후보를 내지 않으면서 3번은 비게 된 것입니다.
공직선거법상 이미 정해진 기호는 재정렬하지 않기 때문에
3번은 결번 상태로 그대로 두고
다음 순번부터는 4번, 5번, 6번...으로 이어집니다.
📝 실제 공식 후보자 기호 순서
기호 | 정당 | 후보자 이름 |
1번 | 더불어민주당 | 이재명 |
2번 | 국민의힘 | 김문수 |
3번 | ❌ 결번 (조국혁신당 미출마) | |
4번 | 개혁신당 | 이준석 |
5번 | 민주노동당 | 권영국 |
6번 | 자유통일당 | 구주와 |
7번 | 무소속 | 황교안 |
8번 | 무소속 | 송진호 |
🔍 왜 기호를 다시 배정하지 않을까?
기호는 단순히 ‘번호’가 아니라
정당의 위상과 정치적 상징성을 보여주는 요소입니다.
그래서 한 번 부여된 기호는
후보가 사퇴하거나 등록을 안 하더라도 재정렬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합니다.
이는
- 투표용지 인쇄,
- 공보물 제작,
- 후보자 캠프 활동,
- 유권자 혼란 방지
등을 고려한 실무적 결정입니다.
🧾 참고로, 후보 등록 마감 상황은?
2025년 대선 후보 등록 마감일인 5월 11일까지 총 7명이 등록 완료했으며,
진보당 김재연 후보는 단일화로 출마를 철회했고,
허경영 씨는 공직선거법상 피선거권이 박탈되어 등록하지 못했습니다.
✅ 마무리 요약
- 기호 3번은 조국혁신당 몫이었지만 후보자가 없어서 결번 처리
- 기호는 법적으로 재배정하지 않음
- 2025년 대선 투표용지에는 3번 자리가 공란
- 최종 후보는 1번부터 8번(무소속)까지 총 7명
👉 투표 전, 기호별 후보자 정보와 공약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여러분의 한 표가 대한민국의 미래를 결정합니다.
🔻정당별 후보자 정보, 공약 바로보기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