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등급판정 기준 총정리

장애인 등록을 위해 필요한 등급판정 기준, 복잡하게 느껴지셨죠?
이 글에서는 장애인 등급 판정의 최신 기준과 등록 절차를 아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국민연금공단 심사 방식부터 진단서 준비, 의료기관 선택 팁까지 완벽 가이드!
▪ 과거 병원 등급판정 → 현재는 국민연금공단에서 판정
▪ 유형별 등급 기준 + 전문 진단기관 지정
▪ 장애 정도 심사는 의학 자문회의 통해 결정
▪ 등록 신청은 주민센터에서 접수
장애인 등급판정이란?
장애인 등록을 위해서는 장애 정도를 평가받아야 합니다.
2011년 이후부터는 병·의원에서 직접 등급을 정하지 않고, 국민연금공단 장애심사센터에서 객관적인 심사를 통해 등급을 결정합니다.
장애 등급 판정 절차는?
- 주민센터 방문 → 장애인등록 및 서비스 신청서 제출
- 지정 병원에서 진단서 및 검사자료 발급
- 서류 제출 → 국민연금공단으로 장애심사 의뢰
- 2인 이상 전문의 참여 의학자문회의 → 등급 결정
- 주민센터에서 최종 등록 및 복지카드 발급
장애 유형별 진단 전문의 지정
- 지체장애: 재활의학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등
- 시각장애: 안과 전문의
- 청각장애: 이비인후과 (방음부스 보유 필수)
- 뇌병변장애: 재활의학과, 신경과
- 언어장애: 재활의학과 또는 언어재활사 배치된 기관
- 지적·정신장애: 정신건강의학과, 재활의학과
일반 병원 진단서는 반려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하세요!
최근 바뀐 장애 판정 기준
- ▪ 안면장애: 얼굴 변형 기준 완화
- ▪ 심장장애: 기능 검사 위주로 개편
- ▪ 복합부위통증증후군(CRPS): 기준 개선 논의 중
☑️ 주민센터에서 신청서 발급
☑️ 지정병원 방문, 검사자료 확보
☑️ 검사비, 진단서 발급비 본인 부담
☑️ 최근 6개월 내 검사자료만 유효
☑️ 신청 후 약 2~4주 소요
정리하며
장애인 등록은 단순한 서류절차가 아닌, 정확한 진단과 체계적인 심사가 필요한 과정입니다.
본 글을 참고하여 단계별 준비를 한다면, 불필요한 서류반려나 지연 없이 진행할 수 있어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질문 주셔도 좋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아니요. 반드시 장애 유형별로 지정된 전문의에게 받아야 합니다.
네, 진단서 및 검사결과는 6개월 이내 자료만 인정됩니다.
네, 기준에 미달하거나 자료 부족 시 등급이 인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보청기 보조금 신청 방법
보청기 가격이 부담되셨나요?청각장애인 등록을 하면 보청기 구입 시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보청기 보조금 신청 자격, 절차, 필요한 서류를 한눈에 정리해드립
dailypower.co.kr
보청기 정부지원금 환급
보청기 구입은 생각보다 고가입니다.그런데! 정부에서는 보청기 구입 시 일정 금액을 환급해주는 제도를 운영 중이에요.이 글에서는 보청기 정부지원금 환급을 받는 정확한 방법과 꿀팁을 쉽고
dailypower.co.kr
노인 보청기 지원금 절차
60세 이상 어르신께 보청기 구입은 꽤 부담되는 일입니다.하지만 청각장애 등록을 하면 보청기 정부지원금(최대 131만원)을 환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오늘은 노인 보청기 지원금
dailypower.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