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실업급여 계산 관련 Q&A를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하루에 얼마 나오나요?", "몇 개월 동안 받나요?" 하는 질문들을 많이 합니다. 아래 글을 참고하시고 실업급여 계산관련 궁금증을 해결하셨으면 좋겠습니다.
Q1. 실업급여는 하루에 얼마나 나오나요?
A. 평균임금의 60%가 1일 지급액입니다.
예를 들어, 하루 평균임금이 10만 원이라면 실업급여는 약 6만 원입니다.
단, 1일 실업급여는 최소 66,816원 ~ 최대 77,664원(2025년 기준) 범위 내에서 지급돼요.
예외적으로 초단시간 근무자 등은 이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Q2. 총 몇 개월 동안 받을 수 있나요?
A. 연령과 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120~270일까지 받을 수 있어요.
예시:
- 1년 이상~3년 미만 가입 + 50세 미만이면 → 150일 (약 5개월)
- 3년 이상 가입 + 50세 이상이면 → 210~270일 (최대 9개월)
Q3. 월급이 200만 원 정도면 실업급여는 얼마 나올까요?
A. 하루에 약 6만 원, 한 달 기준 130~150만 원 정도 예상됩니다.
계산 예시:
- 월급 200만 원이면 → 1일 평균임금 약 66,667원
- 1일 실업급여 = 평균임금의 60% = 약 40,000원
- 단, 하한액인 66,816원이 적용되면 → 하루 66,816원 × 30일 = 약 200만 원까지 가능
※ 단, 주휴일 제외한 실제 지급일 수 기준으로 계산되니 실제 지급액은 이보다 조금 낮을 수 있어요.
Q4. 하루 5시간, 주 5일 근무자도 실업급여 받을 수 있나요?
A. 네, 주 20시간 이상 근무하고 고용보험이 가입되어 있었다면 가능합니다.
다만, 근무 시간이 짧으면 평균임금도 낮아지기 때문에 실업급여도 적게 나올 수 있어요.
Q5. 실업급여 총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 1일 지급액 × 총 지급일수로 계산합니다.
예시:
- 1일 66,816원 × 150일 = 약 1,002만 원
Q6. 실업급여 계산 기준이 되는 '평균임금'은 어떻게 정하나요?
A. 퇴사 전 3개월의 총 급여를 기준으로 계산해요.
총 3개월 급여 ÷ 총 근무일 수 = 1일 평균임금
그 평균임금의 60%가 1일 실업급여가 됩니다.
실업급여 신청, 수급조건, 계산, 구직활동 과 관련된 정보가 있으니 아래에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